Logo Taedi's Log
    Logo Inverted Logo
    • Posts
    • Blog
    • Java
    • JavaScript
    • Logs
    • Python
    • Server
    • SQL
    Hero Image
    이클립스(eclipse), Dbeaver 맥에서 한글 짤림문제 해결

    서론 맥에서 이클립스를 사용하려면 불편함을 감수해야하는 부분이 있는데 그중에서도 제일은 한글 짤림 현상일 것이다. 이것은 한글 타이핑 시 마지막에 입력한 글자가 지워지는 현상인데, 이를 방지하려면 문장 작성 후 esc, enter, space 키 등을 입력 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SQL 클라이언트 툴인 Dbeaver 또한 동일한 증상을 가지고 있다.) 구글 검색을 해보니 2013년 이전부터 리포팅 되어왔으나 프로그램 개선이나 해결책이 없는 채로 방치된 문제로 보였고, 여러 포스팅에서 맞춤법 자동 수정 을 해제하라는 말이 있었지만 일단 현재기준으로 전혀 먹히지 않는다.

    2021년 10월 16일 Read
    Hero Image
    파이썬 가상환경 설정(pyenv, pipenv)

    오랜만에 파이썬을 사용하려고 보니 pyenv 와 pipenv 용어들은 기억나는데 좀처럼 어떻게 써야할지 감이 잡히지 않았다. 물론 글로벌 환경에서 작업해도 무방했지만 소싯적 시험기간에 공부보단 책상정리에 열중했던 주의력 산만한 학생으로서 두가지를 반드시 사용해야겠다는 결의를 다져보았다. 찾아보니 예전에 같은 주제로 메모도 해두었지만 나조차 이해가 되지않을 만큼의 내용으로 도움이 되지 않았고 이에 새롭게 파이썬 가상환경 사용방법을 알아 보았다. 물론 파이썬 가상환경의 전반적인 부분은 아니고 내가 사용할 만큼, 그리고 세팅하면서 발생하는 의구심에 대한 부분을 나의 눈높이 정도로 정리하였다.

    2021년 09월 18일 Read
    Hero Image
    Github 블로그 설정 4. 대망의 업로드

    서론 어느정도 설정을 마쳤다면 마지막은 세팅한 블로그를 Github Pages 에 올리는 일만 남았다. Hugo는 자동빌드가 되지않아 push 만 하면 페이지가 업데이트되는 jekyll과는 조금 다르다고 한다. 그래서 전체 프로젝트 파일과 빌드 된 파일을 각각 저장할 공간이 필요한데 리포지토리를 각각 분리하여 구분하는 방식과 한개 리포지토리에 브랜치를 나누어 관리하는 방식이 있었다. 두가지 방법 모두 시도해보았는데 개인적으로 리포지토리가 많으면 관리가 어렵다고 느껴 한개 리포지토리를 활용한 방법을 택했다. 진행순서 1. 리포지토리 생성 ‘자신의 아이디.github.io’ 라는 이름의 리포지토리를 생성한다.

    2021년 09월 13일 Read
    Hero Image
    Github 블로그 설정 3. Notion 페이지 변환

    노션은 기본적으로 작성한 글을 마크다운으로 내보낼 수 있는 기능이 있어 hugo 포스팅을 하는데 탁월할 것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노션의 내보내기 기능은 어딘가 아쉬운 부분이 있어 이것을 조금 손봐줄 필요가 있었다. 추가 작업 H 태그 노션은 h1 ~ h3 태그만 지원하며 h4~h6 태그는 없다. 그런데 h1 태그는 포스트에 여러개 존재하면 SEO 점수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기 떄문에 hugo 포스팅을 염두에 둔다면 h2 와 h3 태그만 사용해야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대로 사용하기엔 기존의 글을 그대로 옮기기 위해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한 문제와(h1 태그 안쓴 글이 없었다.

    2021년 09월 12일 Read
    Hero Image
    Github 블로그 설정 2. 세부 설정

    글 게시 작성한 글을 게시하려면 md 형식으로 저장하여 프로젝트 내부의 content 폴더에 위치시키면 된다. front matter 설정 글 상단에 yaml, toml, json 키 값 쌍으로 이워진 front matter 를 작성해야한다. front matter 는 종류가 꽤 다양해 공식 문서를 확인해보고 필요한 것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면 될 듯하다. 그리고 적용한 테마에 따라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front matter 가 달라질 수 있고 형식 또한 달라질 수 있는 듯 하다. https://gohugo.io/content-management/front-matter/ 섹션 설정 hugo는 폴더로 섹션과 하위 섹션을 구분할 수 있다.

    2021년 09월 11일 Read
    Hero Image
    Github 블로그 설정 1. Hugo 설치

    서론 코딩 공부를 시작하며 메모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처음에는 노션으로 기본적인 메모를 하고 어느정도 정리가 되면 티스토리에 업로드를 할 것을 계획했고 포스팅을 조금씩 해나가고 있었는데, 언젠가부터 글을 작성할 때 마다 reCAPTCHA 가 발생하기 시작했다. 물론 직접 글을 작성할 때야 체크 항목이 하나 늘어난 것 뿐이지만, 문제는 OPEN API 방식의 포스팅은 완전히 불가능해져 애용하던 Notion2Tistory 를 활용할 수가 없어진 것이 큰 문제였다. (노션에 작성한 글을 API 없이 티스토리에 업로드 하기위해서는 대단한 인내심이 필요했다.

    2021년 09월 10일 Read
    Hero Image
    [Maven] 외부 톰캣에 deploy 설정하기

    외부 톰캣에 프로젝트를 배포하기 위해서는 war 파일을 직접 업로드 하여야하는데, 이걸 IDE에서 run 할때 바로 처리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이해가 부족하여 문장이 뒤죽박죽..) 작업 환경 시놀로지 Docker - tomcat-8.5.69버전 IDE - eGov3.10 시놀로지 세팅 ssh 와 vi를 다루는 데 능숙하지 않기 때문에 시놀로지 gui 환경에서 작업을 처리할 방법을 구상해 보았다. 볼륨 마운트 작업 편의성을 위하여 외부 폴더들에 conf 와 webapps 경로를 마운트 해주었다. ‘컨테이너 선택 > 편집 > 볼륨’ 으로 이동하여 아래와 같이 폴더를 마운트 하였다.

    2021년 09월 06일 Read
    Hero Image
    기존 주소 방문 시 리다이렉트 하기 - 티스토리 2차 도메인 설정 #3

    ※ 티스토리 블로그에 작성했던 내용을 옮겨왔습니다. 티스토리 개인 도메인 추가 후 티스토리 기존 주소로 유입되는 방문객을 개인 도메인 주소로 이동하는 스크립트를 추가하여 보았습니다. 필수적인 사항은 아니지만 저의 경우 루트 도메인 taedi.net 을 블로그에 연결했기 때문에 www.taedi.net 과 tae-di.tistory.com 총 세개의 도메인을 통해 블로그에 접속할 수 있었고, 깔끔한 교통정리를 위해 redirect를 활용하여 taedi.net 으로 단일화 시켰습니다. 도메인을 통일해줘야 하는 몇가지 이유 방문통계에서 게시글이 주소에 따라 다르게 집계되는 문제 애드센스를 활용할 경우, 접속 도메인에 따라 광고가 나오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 주소를 하나로 통일해야 할 것 같은 강박 도메인이 여러개 존재하여 발생할 수 있는 불편함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1년 03월 10일 Read
    Hero Image
    댓글 작성하려는데 로그인이 안된다구? - 티스토리 2차 도메인 설정 #2

    ※ 티스토리 블로그에 작성했던 내용을 옮겨왔습니다. 개인 도메인으로 블로그 게시물에 접근하면 티스토리 로그인이 되어있지 않은 상태가 됩니다. 때문에 게시물 수정이나 블로그 관리 페이지 진입 등이 되지 않는 불편함이 있는데 이것은 블로그 주인만 느끼면 되는 문제라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방문객이 겪는 불편함이 존재하는데 바로 티스토리 로그인이 연동되지 않아 비회원으로 댓글을 남겨야 하는 문제입니다. 댓글기능이 원활하지 않는다는 것은 블로그의 순기능 중 소통의 영역에서 마이너스 요소가 아닐 수 없습니다. 개인 도메인에서는 티스토리 아이디로 댓글 작성이 불가능하다.

    2021년 03월 09일 Read
    Hero Image
    검색엔진 노출 재설정하기 - 티스토리 2차 도메인 설정 #1

    ※ 티스토리 블로그에 작성했던 내용을 옮겨왔습니다. 티스토리 블로그 주소 변경을 마친 후에 가장 먼저 사이트 검색노출을 재설정 해주었습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1차 도메인(티스토리 기본 제공 도메인)이 계속해서 검색엔진에 노출되고 있고 2차 도메인(개인 도메인)은 아직 알려져있지 않기 때문에 신속하게 변경하여야 유입 방문객 수 손실을 그나마 낮출 수 있을 것이라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도메인 구매과정 및 티스토리 블로그 적용 방법에 대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티스토리 개인 도메인 구매 및 활용하기 - #1 구매동기, DNS설정, 오류해결

    2021년 03월 07일 Read
    Hero Image
    티스토리 개인 도메인 구매 및 활용하기 - #1 구매동기, DNS설정, 오류해결

    ※ 티스토리 블로그에 작성했던 내용을 옮겨왔습니다. 얼마 전 블로그 주소를 tae-di.tistory.com 에서 taedi.net 으로 변경하였습니다. 도메인 변경을 진행하기 전 여러 후기에서 티스토리 블로그 2차 도메인 등록 시 발생하는 많은 문제점에 대한 부분을 확인 하였지만 이같은 결정을 하게 된 것은 그만큼의 메리트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티스토리 블로그 2차 도메인(개인 도메인)이 주는 기대효과와 이를 위해 감수해야하는 단점, 그리고 도메인 등록방법과 문제점들을 어느 정도 해소하기 위한 설정 방법들을 공유하고자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장점 - 개인 도메인을 구매한 동기 물론 가장 큰 목적은 ‘갖고싶어서’ 였습니다.

    2021년 03월 05일 Read
    • ««
    • «
    • 1
    • 2
    • »
    • »»
    Contact
    • taedi90@gmail.com
    • taedi90